안녕하세요. 세상 독사 같은 놈 최독사입니다.
오늘은 취득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돈, 세금 이런 얘기하면 머리 아픈데...
그래도 알아야 합니다. 모르면 나만 손해니까...ㅠㅠㅠ
부동산 거래를 할때 세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투자를 하더라도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세금은 1번 더 꼼꼼하게 챙겨야 합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취득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을 취득하게 되면
거래금액의 4.6%, 농지는 3.4% 과세를 합니다.
기본세율 체계는 위와 같습니다.
취득세 4%, 농어촌특별세 0.2%,
지방교육세 0.4%, 합계 4.6 퍼센트입니다.
만약 1억원의 부동산을 취득한다면?
460만 원 취득세가 부과되는 구조입니다.
이렇게 높게 세금이 부과되면
실수요자가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주택에 대한 취득세를 인하하였습니다
개정된 취득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방세법 개정에 따라 개정된 세율은
취득 시가액이 6억 원 이하인 주택은 1% ,
취득당시 시가액이 9억 원을 초과하는 주택은 3% 부과합니다.
1세대 1주택의 경우 1~3% 취득세 부담을 갖는 구조입니다.
여기에 농특세와 지방교육세가 추가됩니다.
취득세 계산세율을 알았다면 이제 매수 시 다른 수수료도 알아보겠습니다.
집을 사면 취득세만 드는 게 아닙니다.
법정 중개 수수료와 등기 관련 수수료도 구매 자금에 넣으셔야 합니다.
주택법에 의해 집을 매수하면 국민 주택 채권을 구입해야 한다는 사실도 잊지 마세요.
이제 취득 시 모든 서류는 꼼꼼하게 잘 챙겨두셔야
향후 양도세를 계산하실 때 절세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꼼꼼하게 챙겨야 할 서류는 계약서와 취득세 등의 세금 영수증, 그리고 중개사 수수료 영수증, 자본적 지출 부분 영수증 등을 잘 챙겨두셔야 합니다.
특히 세금계산서, 신용카드 매출전표, 현금영수증 같은 법정 증빙을 받아야 향후 양도세 계산시 필요경비로 공제받을 수 있다는 사실. 명심하세요.
지금까지 취득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해당 내용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세금은 세무사에게 정확하게 상담을 받아야 확실하다는 것.
잊지 마세요.
사실 저도 이런 부동산 관련 지식이 부족해서 요즘 들어 많은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처음엔 많이 어색하고 힘들었지만 공부를 하다 보면 조금씩 나의 지식도 늘어나고
부동산 관련 세금 관련 용어들이 친숙하게 느껴집니다.처음이 어렵지 나중에는 하다 보면 늘어난 것 같습니다.공부든 근육이든. 세상 그 어떤 것이든 처음엔 다 어렵고 어색합니다.
여러분들도 2023년 부동산과 기타 관련 여러 가지 공부들을 한번 도전해 보시기 바랍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생각보다 재밌습니다.
이상 생각보다 독한 사람, 최독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따라하기 쉬운 북유럽 인테리어 꿀팁! 공유해요~ (9) | 2023.02.11 |
---|---|
전세 사기 예방하는 방법 꿀팁 공유! (11) | 2023.02.10 |
매각물건명세서 보는 방법, 이걸로 쉽게 해결! (7) | 2023.02.08 |
클릭 한 번으로 1분안에 초간단 무료 상권 분석 가능한 꿀팁 공유 (6) | 2023.02.07 |
사업자 간이과세자의 일반과세자의 차이 쉽게 5분 정리 (4) | 2023.02.07 |